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하 뜻과 유래, 풍습은?

by 중고차 추천 2023. 4. 29.
반응형

입하 뜻과 의미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입하 내용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서 풀뽑기에 부산해진다.

 

보통 곡우 때 채취해 만든 차를 우전차(雨前茶)라 하여 최상품으로 여기지만 입하 무렵에 만든 차도 이에 못지 않다. 입하까지 채취한 찻잎으로 만든 차를 삼춘차(三春茶)·삼첨(三尖), 입하 후에 만든 차를 사춘(四春)·난청(爛靑)·장대(長大)라 하여 통칭 입하차로 부른다.

 

입하 풍습

세시풍속의 하나로 이 즈음에 쌀가루와 쑥을 한데 버무려 시루에 쪄 먹는 떡, 이른바 쑥버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먹기도 하고, 집안에 따라서는 색다른 음식을 마련해 농사꾼들의 입맛을 돋우기도 하였다.

 

입하 속담

옛날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한창 못자리를 하므로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는 말이 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으로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는 말도 있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뜻으로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라는 말도 있다.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근 한 달 동안을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분의 손실이 많아 농사가 잘 안 된다는 뜻으로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라는 말도 있다.

 

24절기


절기 일자 내용
입춘() 2월 4일 경 봄의 시작
우수()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청명() 4월 5일 또는 6일 봄 농사준비
곡우()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소만(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망종()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하지()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서()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대서()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한로()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상강()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입동()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소설()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한()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더보기
 
 
 
 
 
 

 
 
 
 
 
 
 
 
 

댓글